A+ 보장!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소 현장실습내용 작성자료

목차

제1장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제2장 지역사회간호의 실무
Ⅰ. 보건소 실별 인력분포 및 업무현황
Ⅱ. 보건소 주요 사업에 대한 이해
III. 보건소 지역사회 간호과정 사례

제3장 보건교육사업

본문내용

제1장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1. 지역보건법(1995)을 참고하여 보건소의 설치 기준을 확인하고 기술하시오.

-제3장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설치ㆍ운영-
제10조(보건소의 설치)
① 지역주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ㆍ관리하기 위하여 시ㆍ군ㆍ구에 1개소의 보건소(보건의료원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설치한다. 다만, 시ㆍ군ㆍ구의 인구가 30만 명을 초과하는 등 지역주민의 보건의료를 위하여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조례로 보건소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개정 2021. 8. 17.>
② 동일한 시ㆍ군ㆍ구에 2개 이상의 보건소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업무를 총괄하는 보건소를 지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제11조(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
① 보건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서 다음 각 호의 기능 및 업무를 수행한다.<개정 2016. 2. 3., 2019. 1. 15., 2019. 12. 3.>
1. 건강 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ㆍ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인 및「보건의료기본법」제3조제4호에 따른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ㆍ관리ㆍ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ㆍ관리
4. 보건의료 관련기관ㆍ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ㆍ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가. 국민건강증진ㆍ구강건강ㆍ영양관리사업 및 보건교육
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다.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유지ㆍ증진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