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의 사회화에 대해 사회통합의 관점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습득 과정의 입장 소개
2. 사회통합 입장에 있는 미드, 쿨리, 뒤르켐, 파슨스 등의 이론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습득 과정 입장을 취하는 마르크스와 알튀세르의 이론 서술
3. 위 두 입장을 토대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화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정리
본문내용
(1) 학교의 사회화에 대해 사회통합의 관점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습득 과정의 입장
우리나라는 현재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의무교육이다.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은 학창 시절이라는 개념이 초·중·(고등) 학교 시절이라고 인식할 것이다. 사회통합의 관점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습득 과정에서 볼 때 학창 시절의 필요성과 의무교육의 목적은 무엇일지 고민해 보았다. 정부에서 의무교육을 시키는 목적을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볼 경우, 교육력 향상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기본 교육을 통한 사회 규범을 확립하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도덕 과목을 통해 행동 양식을 배우며, 역사를 통해 규범과 사회문화를 가르친다. 이러한 의무교육을 통해 결국 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국민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보았다.
반면 지배 이데올로기의 습득 과정 측면에서 바라보면 해당 의무교육을 통해 배운 사회 규범과 규칙, 질서, 행동 양식은 모두 피지배계층의 저항력 약화와 지배계층에 순응하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