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폐암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8가지, 간호과정 3가지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사례, 문헌고찰포함

목차

없음

본문내용

진단명 : Lung cancer
이론적 배경
1. 정의
.폐암의 정의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크게 기관지나 폐포에서 처음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생겨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눈다.

.폐의 구조와 기능
폐는 호흡기계의 하부기도에 속하며, 종격동을 사이를 두고 좌우에 하나씩 위치한다. 폐는 흉곽 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탄력성 있는 원추형기관이다. 폐 아래에 있는 횡격막은 복강과 흉곽을 분리하며, 늑간근과 함께 중요한 호흡근 역할을 한다. 폐는 수억 개의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주기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엽으로 나누어진다. 폐는 호흡기계의 중요한 장기로서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대사산물의 폐물인 이상화탄소 제거와 산-염기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 흡연
흡연은 주요 위험요인이고 폐암 사망의 85%가 흡연에 기인한다. 폐암에 대한 위험은 흡연 연수, 1일 흡연량, 흡입 깊이, 타르와 니코틴 함량에 의해 결정되며, 흡연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과 관련이 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위험이 15~80배까지 증가한다. 자동차, 식당, 사무실과 같이 담배연기에 노출되어 있는 폐쇄된 환경에서도 폐암의 위험이 많아, 간접흡연도 폐암의 유발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