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욕구조사, 욕구사정

목차

I. 욕구이론

II. 욕구 조사에 포함될 내용
1) 기초자료
2) 욕구파악을 위한 자료
(1) 현재의 삶의 상태를 파악하는 자료
(2) 기존의 프로그램이나 정책대안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
(3) 신규 프로그램이나 정책대안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
3) 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자료
(1) 의사소통망에 관한 정보
(2) 지역사회자원에 관한 정보

III. 욕구 조사의 종류
1) 클라이언트 중심 욕구 조사
2) 서비스 중심 욕구 조사
3) 지역사회 중심 욕구 조사

본문내용

I. 욕구이론

사회복지에서 욕구에 대해 가장 널린 알려진 것은 Maslow의 욕구단계이론(Hierarchy of Needs Theory)이다. 욕구에 대한 고전적인 분류인 Maslow(1954) 의 5단계 구분을 살펴보면, 인간의 욕구는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안전에 대한 욕구(safe needs), 소속과 사랑의 욕구(belongingness and love needs), 자아존중의 욕구(esteem needs), 자아실현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등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5단계의 욕구는 위계적 관계로서 전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다음 단계의 욕구가 발생한다. Maslow의 욕구단계별 내용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

각 단계의 욕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생리적 욕구는 의식주를 비롯한 생활의 기본적인 욕구를 말한다. 안전에 대한 욕구는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 나타나며 사고로부터의 안전, 보호로 설명할 수 있다.
소속 및 사랑에 대한 욕구는 동료 간의 친밀감이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욕구를 말한다. 자아존중의 욕구는 타인이 자신을 무시하지 않기를 바라며 자신을 존중하고 싶은 욕구를 뜻한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잠재력을 발휘하고 이상을 실현하려는 욕구를 말한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성장의 욕구라 하며, Maslow는 이후에 성장의 욕구를 인식적 욕구(cognitive needs), 심미적 욕구(aesthetic needs), 자아실현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초월욕구(transcendence needs)로 다시 구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