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자신의 입장을 찬성이나 반대의 입장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적절한 휴가 사용의 가능 여부
2.추가근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 유무
3.근로자의 건강 문제
4.직장인들의 육아 문제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현 정부에서 추진 중인 국정 과제 중에는 근무 시간을 주 최대 52시간에서 69시간으로 늘리는 방안이 있다. 52시간 이상 초과근무를 했을 경우 이후에 하는 근로 시간을 줄이거나 휴가로 보상을 해주는 제도다. 이 제도를 시행하려고 하는 이유는 최대 주 52시간으로 인하여 기업이 바쁠 때 인력을 원활하게 활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 제도를 시행하게 되면 월, 분기, 반기, 연 단위 등으로 전체 근로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중 략>

2.추가근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 유무
기업이 그 주에 일이 많아서 조직원들이 최대 주 69시간을 근무하게 되었다고 했을 때 초과근로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조직원들에게 주어질지는 의문이 든다.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 기업은 조직원들과 포괄임금제 방식으로 근로 계약을 맺고 있다. 포괄근무제는 추가근무수당을 급여에 합쳐서 지급하는 제도로 현장에서는 추가근무에 대한 수당을 주지 않는 수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주 69시간으로 바뀌게 되면 정규근로시간 보다 더 일한 인건비에 대해서 기업이 포괄임금제를 근거로 하여 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