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치료의 WDEP 체계를 설명하고 각각의 예를 들어보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실치료는 윌리엄 글래서가 주장한 심리치료이고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WDEP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행동선택을 바탕으로 한 이론이다. 현실치료를 받는 내담자들의 특징은 자신의 욕구를 만족하지 못해 실패로 이어졌을 때 현실에 대해 부정하고자 알코올 중독이 되기도 하며 극단적으로는 자살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내담자들의 공통점은 모두 현실을 부정하며 기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실치료는 내담자 스스로가 삶의 방향을 선택하도록 도우며 효과적인 행동선택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과거보다는 현재와 미래에 초점을 맞추어서 자신의 행동선택에 책임감을 가지고 어떻게 행복하게 살고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살아갈 수 있을지 지도해 준다. 또 내담자들에게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격려와 희망을 북돋아줘야 한다.
그렇기에 내담자들은 치료 과정에서 현실을 받아들이도록 노력해야고 현실성 있는 욕구를 생각해 만족해 나가야 한다. 본론에서는 WDEP의 체계를 살펴보고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다.

2. 본론 – 현실치료의 WDEP체계와 예
(1) W(want) : 바람, 욕구
내담자의 욕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욕구는 무엇인지, 자신의 삶이 어떻게 변화했으면 좋겠는지 질문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이 단계에서 내담자가 가장 원하고 진정으로 바라는 삶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런 상담을 통해서 내담자도 자신이 원했던 욕구에 대해 명확하게 알게 된다.
–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욕구는 무엇입니까?
– 당신은 인생을 진정으로 변화시고자 합니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