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본문내용
2. 실험 목표
① NCBI 같은 웹 기반 생물학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유전자 및 단백질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Bioedit 프로그램으로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고, 코돈과 신호서열과 같은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3. 이론
① 코돈(codon)
DNA에 전사된 mRNA의 3염기 조합을 의미한다. mRNA의 유전암호의 단위로, 이것에 의해 세포 내에서 합성되는 아미노산의 종류가 결정된다.
② 개시코돈 (initiation codon)
mRNA로부터 단백질 번역을 시작하는 첫 번째 코돈이다. 진핵세포와 원핵세포 모두 개시코돈은 AUG 염기서열이다. 진핵세포는 methionine으로, 원핵세포는 N-formylmethionine(fMet)으로 번역된다.
③ 종결코돈 (stop codon)
mRNA 상의 코돈 중 아미노산을 지정하지 않고 단백질 합성 과정이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로 작동하는 코돈이다. 일반적으로 RNA에서는 UAA, UAG, UGA이고 DNA에서는 TAG, TAA, TGA의 3가지가 종결코돈으로 사용된다.
4. 실험 과정
– NCBI
① Google 사이트에 접속하여 NCBI에 접속한다.
② NCBI 검색 및 카테고리 설정에 nucleotide로 변경한다.
③ Nucleotide로 설정한 후 찾으려는 유전자를 입력한다.
④ mRNA, complete cds를 찾아 클릭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