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표준적인 된소리 현상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한국어는 그 발음과 어휘 구성 등에서 특이한 언어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어의 발음 규범은 중요한 문화적 측면을 갖고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 언어 사용과 소통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한국어의 발음은 ‘된소리’라는 현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규범을 따릅니다…
<중 략>
표준적이지 않은 된소리 현상
‘공깃밥’은 [공기빱] 또는 [공긷빱]으로 발음합니다. 이는 앞말이 울림소리 (모음, ㅁㄴㅇㄹ)로 끝나고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 (ㄱㄷㅂㅅㅈ)일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입니다.
‘귓밥’은 [귀빱] 또는 [귇빱]으로 발음합니다. 이 역시 앞말이 울림소리로 끝나고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입니다.
‘김밥’은 [김빱]으로 발음합니다. 이는 앞말이 울림소리로 끝나고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입니다.
‘물동이’는 [물똥이]로 발음합니다. 이 역시 앞말이 울림소리로 끝나고 뒷말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일 때,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