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사정
1. 건강사정
2. 약물
3. 진단검사 소견
4. 치료경과 및 계획(2023.03.29. 기준)
5. 간호과정 (SOAPIE)
6.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문헌고찰
1. 병태생리
담관이나 위장관 어디서나 감염이 발생하며, 담도계, 간문맥계 또는 간동맥이나 림프계를 통해 간에 도달한다.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즉시 죽지만, 일부 미생물들이 살아남아 박테리아성 독소를 내뿜으며 주위 간세포를 파괴하고, 괴사된 조직은 균으로부터 보호벽 작용을 한다. 그동안 백혈구가 감염부위로 이동하고, 생존한 백혈구와 죽은 백혈구, 액화 간세포와 박테리아를 포함한 액체가 가득 찬 공동을 형성한다. 간의 실질조직 안에 농과 미생물들이 국소적으로 모여 있는 것을 간농양(liver abscess)라고 한다. 간농양은 병의 원인에 따라 아메바성 농양과 화농성 농양으로 나눌 수 있다…
<중 략>
2) 출처(source): 대상자 본인, 보호자, 전자의무기록(EMR)
3) 진단명(Medical Diagnosis): Liver abscess
4) 수술명 : PCD insertion(2023.03.20. POD #9)
4) 수술명 : PCD reposition(2023.03.29.)
5) 주호소(C.C) :
· headache
· RUQ pain “왜 이렇게 배가 자꾸 아프지.” “새벽에 아프다가 5~6시에 또 아프기 시작했어.”
6) 현병력(HPI) : 내원 일주일 전 방어회 먹었으며 내원 3일 전부터 mild headache 지속되던 중 내원 2시간 전부터 Lt. temporal, Lt. parietal lobe 쑤시는 양상의 극심한 pain으로 악화되어 tyrenol 복용에도 호전없고 RUQ pain 동반되어 ER 통해 내원함. 열 재보지는 않았지만 열감 있었다 함.
최근 여행력(-) 복부 수술력(-)
V/S BP(131/78) PR(98) RR(20) BT(38.7) SpO2(98)…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