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A+ 레포트] 어는점 내림

목차

Ⅰ. Date
Ⅱ. Objectives
Ⅲ. Introduction
Ⅳ. Materials
Ⅴ. Procedure
VI. Results
VII. Discussion & Conclusion
VIII. Reference

본문내용

Ⅰ. Date
2021년 5월 6일

Ⅱ. Objectives
순수한 물의 어는점과 그것의 Kf (어는점 내림 상수)를 결정한다.

Ⅲ. Introduction
1. 총괄성
1.1. 총괄성이란, 용액의 성질 중 용질과 용매 분자의 상대적 수에 의존하고, 용질의 화학종에는 무관한 성질을 말한다.
1.2. 총괄성에는 용매의 증기압 내림, 용매의 끓는점 오름, 용매의 어는점 내림, 삼투가 있다.
1.3. 1.2.의 네 가지 성질은 모두 용매의 두 상 사이 또는 농도가 다른 두 용액 사이의 평형에 관련된다.

2. 어는점 내림
2.1. 어는점이란, 액체가 고체로 변화할 때 방출된 열에너지가 모두 응고열로 쓰이기 시작할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2.2. 순수한 물을 냉각했을 때, 액체에서 고체로 응고되는 속도와 그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지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이 때 온도는 상변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2.3. 반면, 소금과 같은 용질이 첨가되는 경우, 물이 어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며 순수한 물과 같이 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의 평형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응고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용액의 온도가 계속 떨어진다.
2.4. 과냉각이란, 결정이 생성될 때, 온도가 잠시 어는점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시 약간 상승하는 상황을 말한다. 이때 어는점 아래로 온도가 내려가더라도 원래의 상을 유지하게 된다. 과냉각이 발생할 때 기록해야 하는 어는점 온도는 얼음 결정이 처음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기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