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혈액학_6과_정리레포트

목차

없음

본문내용

General Characteristics 일반적인 성격
Rh 항체는 반드시 수혈이나 임신을 통해서 rh 항원을 가지고 있는 적혈구가 몸에 들어와서 면역 시스템에 노출이 되었을 때만 만들어진다. (정상적으로는 rh 항체가 내 몸에 있으면 안됨. 있다고 하면 외부에서 rh 항원이 들어온 경우. 임신 시기 태아도 타인이라고 할 수 있다)
IgG, 37도에서 항원 항체 반응을 하고, Indirect anti-globulin test 에 의해서만 응집이 된다. IgG 타입의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complement 가 activate 되지 않는다.
Dosage effect: 양쪽에 Large C 가 있을 때 더 강하게 반응한다.

(2) Clinical Considerations
1) 지연성용혈성수혈부작용 (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Rh 항체가 생겨난 이후에 수혈을 받으면 ABO 타입 혈액형처럼 바로 보체가 형성되어 용혈성 작용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비장으로 간 이후에 혈관 밖 용혈이 일어난다(혈관내용혈은 ABO – acute, 급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

2) 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D-positive baby vs D-negative mother) 태아 신생아 용혈성 질환

Initial pregnancy: anti-D production in mother 임신 중에 태아의 혈액이 모체로 갈 수도 있고, 분만 중에 태아의 혈액이 역류해서 모체에게 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되게 되면 면역계가 anti-D 를 외부 물질로 인식해서 항체가 생긴다. 첫번째 임신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두번째 아이가 만약 또 D-positive 라고 하면 IgG 타입의 anti-D 항체를 가진 모체의 혈액이 태반을 통과해서 아이가 가지고 있는 D 항원에 결합해서 태아의 용혈이 일어나 적혈구가 파괴되고, 용혈성 질환이 일어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