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설계실습내용 및 분석
2. 검토사항
본문내용
4-4. 설계 실습 내용 및 분석
4-4-1. 설계한 Wien bridge oscillator 구현
(A) 계획서의 4-3-1에서 설계한 대로, 그림 4-1에 주어진 Wien bridge 발진기를 제작하시오. 이 때 Op-amp는 ±15 V 전압을 공급하시오.
<그림 1>과 같이 회로를 설계하였고, <그림 2>는 실제 회로를 구현한 모습이다.
<그림 1> positive/negative feedback의 차등 증폭기를 이용한 Wien bridge Oscillator
<그림 2>
4-4-2 설계한 Wien bridge oscillator 측정
(A) 출력파형과 출력주파수값이 Oscilloscope screen에 보이도록 조정한 화면을 시뮬레이션 결과와 함께 제출하시오. (Oscilloscope의 파형 저장 기능을 사용) 출력파형이 왜곡되는지 확인하시오. 발진조건인 R2/R1=2를 중심으로 gain을 조정하면서 나타나는 파형의 왜곡현상을 관찰하시오.
출력파형과 출력주파수 값은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R_1과 R_2를 가변저항으로 각각 10kΩ, 20kΩ으로 구성하였다. R=976.41Ω으로 설정하였다.
(1) R_2/R_1=1.94인 경우
<그림 3>
R_1=9.73kΩ, R_2=(9.18+9.7)kΩ = 18.88 kΩ으로 설정하였다.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 Gain의 최댓값이다. 지금의 Gain 보다 커지면 파형이 왜곡되었다.
R_2/R_1의 설계값 2와 비교했을 때 3%의 오차가 나타났다.
이때의 출력주파수는 1.561kHz이다. 발진주파수의 설계값 1.63kHz와 4.2%의 오차가 나타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