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 길랭바레증후군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급성통증, 신경근육계 이상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장애)

목차

1. 문헌고찰
– 병태생리
– 원인
– 증상
– 진단
– 치료
– 간호

2.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환자 간호력, 신체사정
– 검사소견
– 치료 및 간호 : 약물요법. 처치, 참고자료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질환명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병태생리
일차적인 병태생리 과정은 말초신경의 축삭을 덮고 있는 수초가 파괴되는 것이다. 탈수초화는 체액성 및 세포중재성 면역반응으로 발생한다. 란비에르 결절 사이에 탈수초화가 일어나 결절과 결절 사이의 신경전도가 방해되어 갑작스러운 근력 약화와 반사반응의 소실이 나타난다.
원인
문헌조사
원인은 밝혀진 바가 없으나,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지며, 호흡기계 혹은 소화기계의 바이러스 혹은 세균성 감염을 앓은 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열, 피로, 인후통, 상기도감염, 예방접종, 약물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자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음. 10/22 diarrhea 4차례 있었음.
증상
문헌조사
갑자기 다리 힘이 약해지거나 움직이지 못하고 통증이 생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 1~3주 전에 감염이나 위장 관계 감염 등과 같은 질병에 노출된다. 이 증후군은 의식 수준이나 뇌실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진행 정도에 따라 상행성, 운동성, 하행성으로 분류한다.
① 상행성 : 가장 흔하며, 쇠약과 감각 이상이 하지부터 시작하여 점차 위로 올라와 몸통과 팔 또는 뇌신경을 침범하는 상행성 마비가 나타난다. 사지의 심부건반사가 상실되고 마비되며 약 절반 정도가 호흡문제를 경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