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췌장(pancreas)의 구조와 역할
2. 췌장염의 정의
3. 원인
4. 위험요인
5. 병태생리
6. 증상
7. 진단 및 검사
8. 치료
9. 합병증 관리
Ⅱ. 간호정보조사
Ⅲ. 약물
Ⅳ. 일반사정
Ⅴ.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복부 CT
3. 소변검사
4. 동맥혈가스분석(ABGA)
5. 혈당검사
Ⅵ. 치료경과 및 계획
Ⅶ. 간호과정(SOAPIE)
1. 간호원인에 대한 간호진단 8개
2. 간호과정
Ⅷ. 참조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췌장(pancreas)의 구조와 역할
1) 구조
– 복벽 뒤에 위치하는 복막 장기, 배 윗부분에서 위와
척추 사이에 위치
– 성인의 췌장 무게: 85~120g, 길이: 15~20cm
– 마치 혀 모양으로 옆으로 길게 누워 있는 모양
– 머리, 갈고리 돌기, 몸통, 꼬리로 구분, 췌장의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에 둘러 싸여 있음
2) 역할
– 외분비: 소화효소를 분비 > 먹은 음식을 소화
– 내분비: 혈액 내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이나 글루카곤 같은 혈당 조절 호르몬을 만듦
2. 췌장염의 정의
– 췌장의 선방세포(anicar cell)가 음주, 담석, 고지혈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되어 국소적인 염증이 발생 하고 췌장 주변 조직과 다른 장기까지 손상을 일으키는 급성 염증성 질환
–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소화)효소(아밀라아제 등)가 선방세포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조기 활성화된 소화효소에 의해 자가소화(autodigestion)되어 염증이 생김
3. 원인
1) 알코올
–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오디 괄약근(Oddis sphincter)의 경련을 유발하고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시켜서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함
– 샘꽈리세포의 세포막을 약하게 하여 세포가 쉽게 손상이 되어 트립신 억제제의 양이 감소됨
– 췌장의 지방대사와 전신의 지방 대사를 방해하여 고지혈증을 악화시킴
2) 담석
– 담췌장관의 팽대를 통한 담석의 이동으로 담즙이 췌장관 안으로 역류함으로써 췌장의 실질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함
3) 고지방혈증
4) 췌장의 외상
췌장을 관통하거나 외부에서 둔하게 가해지는 외상, 수술 시 조작, 내시경역행담췌조영술(ERCP) 중 췌관을 과도하거 팽창시키거나 담췌장관 팽대의 촉진 등
5) 췌장의 국소 빈혈
저혈압성 쇼크, 심폐측로(bypass)형성이나 맥관염(vasculitis)의 발생 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