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문헌고찰 & 사전학습(실습 컨퍼런스로 사용)

목차

1.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2. 비뇨기계 장애 대상자 간호과정(진단1, 간단한 중재방안 제시)
3. 급성과 만성신부전 대상자 간호
4. 투석
5. 비뇨기계 장애 대상자 간호
6. 비뇨기계 수술환자 간호
7. 콩팥이식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 구성요소: 콩팥, 요관, 방광, 요도
* 콩팥:
– 구조
-> 콩팥 겉질; 콩팥피라미드를 제외한 부분, 콩팥기둥은 콩팥질로 뻗어 콩팥 피라미드로 나눔
-> 콩팥 속질: 콩팥 피라미드와 콩팥 기둥의 경계 부분
-> 콩팥 굴: 소신배, 대신배, 신우(신앙에 의해 만들어진 소변이 모이는 곳, 요관과 이어짐)
-> 네프론: 콩팥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 / 신소체와 세뇨관으로 구성
(신소체: 사구체, 수입소동맥, 수출소동맥, 보우만주머니, 토리주머니로 구성됨)
(세뇨관: 근위세뇨관, 헨레고리, 원위세뇨관으로 구성됨)
– 기능
-> 활성형 비티민 D를 형성한다.
-> 산소 농도가 낮으면 적혈구형성인자 호르몬을 분비하여 적혈구형성인자가 적색골수를 자극하여 적혈구를 생성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