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폐(Lung)의 위치, 구조와 역할
3.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Ⅱ. 간호정보조사

Ⅲ. 약물

Ⅳ. 일반사정

Ⅴ.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X-ray(chest PA)
3. CT(chest)
4. 동맥혈가스분석(Artery blood gas analysis, ABGA)
5. 소변검사(Urinalysis)

Ⅵ. 치료경과 및 계획

Ⅶ. 간호진단과 간호과정(SOAPIE)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내과계 및 외과계 환자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패혈증, 폐렴, 외상과 흡인 등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와 연관된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호흡 곤란이 심해지면 이를 의심하여 예방하려는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효과적인 예방법이 없으며 ARDS에서 회복된 생존자들은 대부분 질병 발생 후 1~2주 이내에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사망률이 30~40%에 이른다.
이와 같은 높은 사망률에 따라 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질병이므로 원인, 병태생리, 치료와 합병증 등을 꾸준한 연구를 통해 습득한 후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인 간호중재를 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켜 질환자들의 빠른 회복을 도와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 폐(Lung)의 위치, 구조와 역할
1) 구조
– 가슴 속에 가운데 심장이 있고 폐는 오른쪽, 왼쪽에 각각1개씩
– 오른쪽 폐: 크게 세 개의 폐엽/ 왼쪽 폐: 두 개의 페엽으로 나누어짐(우측 폐:정상 폐기능의 55% 담당)
– 숨을 들이 쉴 때 공기는 코나 입을 통해 들어가서 성대를 지나 ‘기관’으로 먼저 들어감
– 기관은 오른쪽 기관지와 왼쪽 기관지로 나누어지고 이 기관지는 더 작은 기관지로 갈라져서 폐와 이어져 있음
– 폐: 폐포라 불리는 작은 공기 주머니로 구성.
– 림프절: 원형 또는 완두콩 모양으로 세포 사이사이에 있는 물과 림프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기관지를 따라 분포

2) 역할
(1) 호흡작용
– 체외 공기로부터 산소를 혈액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의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하고 폐를 통해 공기 중의 산소가 혈액 내로 이동하고, 혈액순환을 통해 산소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로 공급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