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낭종 간호과정

목차

1.전신마취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2.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본문내용

간호진단 1
전신마취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사정자료
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 “목이 너무 칼칼해요.”
– “기침이 계속 나와서 목이 따가워요.”
– “가래를 뱉어도 계속 있는 것 같아요.”
– “목에 뭐가 껴있는 것 같아요.”

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 2023년 4월 11일 laparoscopic ovarycystectomy을 위해 전신마취 실시함
– 인후통으로 인해 가래를 배출하지 못하는 모습을 관찰하였음
– 호흡 시 가래가 그렁거림
– 수술 직후 호흡수가 26회/min임
목표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고 스스로 분비물을 배출하였다고 말할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수술 후 48시간이내에 분당 호흡수가 20회로 유지할 것이다.
– 대상자는 교육 후 분비물 배출에 도움이 되는 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진단적>
1.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기도 분비물 양상을 사정한다.

<치료적>
3.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한다.

4.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약한다.

5. 처방에 따라 가글액으로 가글을 하도록 한다.

<교육적>
6. 가습기를 틀거나 수분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7. 심호흡, 기침, 체위, 호흡운동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함으로써 기도, 호흡에 문제가 없는 지 알기 위함이다.

2. 대상자의 분비물 양상을 사정함으로써 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