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정의
– 개방정복이란 수술을 통해 골절편이 재배열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대퇴와 관절골절의 경우에는 개방정복과 내부고정이 병행되는데 여기에는 나사, 금속판, 핀, 철사, 못 등이 골절편의 배열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 적응증
1) 골절이 심각하여 뼈의 위치가 상당히 어긋나 있는경우, 또는 다발성 골절인 경우
2) 관절 표면이 파열되는 등 관절이 포함되어 골절이 생긴경우
3) 비수술적인 치료로 호전될것으로 보이지 않거나, 실제로 비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회복되지 않은경우
3) 금기사항
-일부 개방골절의 경우, 상처나 뼈의 감염이 심할 때
-심한 분쇄골절: cast나 견인을 적용해 치료한다.
4) 종류(내부고정기)
-kirschner wire(k-wire): 뻣뻣하고 곧은 와이어로, 핀이라고도 불린다. 뼈가 아물 때까지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주로 손가락 골절 시)
-나사 및 압박 금속판 고정: 골절이 짧아지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골절이 나을 때까지 선열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치료가 완료된 후 봉과 나사가 뼈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슬라이딩 나사고정 -대퇴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