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병동 석고붕대,부목, 견인 종류 및 환자 간호

목차

없음

본문내용

Ⅰ. 석고붕대(cast) 종류와 환자간호
1. 목적: ① 골절 치유과정, 수술 후 치유과정 동안 환부 부동 ② 기형 예방과 교정: 관절염, 척추측만 ③ 질병 시 휴식 증진 ④ 조기 체중부하

2. 종류
① 단상지 석고 (short arm cast)
– 적용: 손가락 마디 관절의 손상이나 손가락 뼈의 골절이 함께 있을 때
– 적용: 손가락 부목을 대 주어 단상지 석고와 연결

② 장상지 석고 (long arm cast)
– 부위: 손목이나 손바닥에서 팔꿈치 위
– 적용: 주관절 원위부, 상완골 및 전박의 골절, 손목 인대 손상, 손뼈의 경미한 골절 치료

③ 상박현수 석고 (hanging cast)
– 적용: 석고붕대에 대상자의 목 주위를 둘러싼 고리 연결. 고정과 견인의 두 가지 기능을 한다.
– 간호: 석고 붕대한 팔을 물체에 기대게 하거나 올려놓아서는 안됨을 교육

④ 단하지 석고 (short leg cast)
– 부위: 발가락에서 무릎 아래
– 적용: 발목이나 발 골절 시 사용
– 간호: 발가락을 노출시켜 감각, 운동정도, 순환정도를 측정
발목관절은 90도를 유지하고 뒤꿈치가 해부학적으로 정상위치가 되도록 주의

⑤ 원통형 석고 (leg-cylinder cast)
– 부위: 발을 제외하고 발목에 대퇴부까지
– 적용: 무릎과 원위부 대퇴골, 근위부 경골, 비골의 경미한 골절

⑥ 장하지 석고 (long leg cast)
– 부위 : 무릎관절을 지나 서혜부까지 석고붕대로 고정
– 적용 : 무릎관절, 대퇴하부 심한 골절, 경골, 비골, 발목 뼈의 경미한 골절

⑦ 체간부 석고 (body cast)
– 부위: 겨드랑이나 상부흉곽에서 시작, 복부에 압박 방지를 위해 창구 만듦
– 적용: 척추의 골절이나 탈구, 척추측만증, 척추수술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