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_대퇴골절 case study A+

목차

1) 환자의 일반적 사항

2) 신체사정

3) 문헌고찰
(1) 질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5) 약물

4) 진단검사

5) 약물
(1) 투약기록지
(2) 약물조사지

6) 간호자료

7) 수술기록

8) 환자(보호자)와의 상담과 현재 상태

9) 간호과정

본문내용

질환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대퇴경부골절)

원인 및 병태생리

문헌
● 원인
① 직접적인 충격: 가장 흔한 원인, 힘의 작용지점에서 뼈가 파괴
② 응전력: 뼈를 뒤틀리게 하여 힘의 작용 지점에서 떨어진 곳에 골절
③ 강력하고 갑작스런 근육 수축
④ 근육의 피로: 뼈를 지지해주지 못해 뼈에 고르지 못한 힘 작용
⑤ 병리적 상태: 뼈에 무기질 감소로 자연적 골절, 골다공증, 골 종양, 영양 부족

● 병태생리
① 뼈의 조직
-유기조직: colagen, proteoglycan
-무기질: 칼슘, 인 등
② 구조
-미숙골(무증골): 태아/소아 급성장, 성인의 인대와 기시부, 골절 시 가골
-성숙골(유증골): 외측(치밀골), 내측(해면골)
-장골은 외측(치밀골), 중심(골수강, 황골수), 골단(해면골)

③ 뼈의 기능
-지지: 신체조직지지, 신체의 형태와 모양 유지
-신체 기관 보호
-근육과 간절에 의한 운동
-두개골, 척추, 늑골, 흉골, 어깨, 골반에서 적혈구 생성
-무기질의 항상성: 칼슘, 인산염, 탄산염, 마그네슘 저장

사례 대상자
Slip down 후 Rt. leg pain 발생하여 본원 ER 통해 입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closed를 진단받음.

임상증상

문헌
보통 매우 고통스러운 서혜부 통증을 야기하며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 움직임이 나타남.
뼈의 연속성 상실로 변형이 나타나고, 골편의 끝이 부딪히면서 마찰음이 발생하며, 혈액이나 조직액의 누출로 인해 부종과 피하출혈이 나타날 수 있음.
심한 조직손상과 혈액 손실 발생 시 쇼크로 이어질 수 있음.

① 외상이 있으면서 다리를 움직일 수 없음
② 골절이 심하면 다리가 짧게 보일 수 있음
③ 엉덩이 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함
④ 양반다리를 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짐
⑤ 부전골절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