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_가와사키병 간호과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 표준화된 언어로 문제목록 작성
● 간호진단과 상호 의존 문제의 공식적인 문제목록을 만들기 위해 NANDA의 진단명 목록을 참고한다.
● 단서 묶음 내의 자료와 NANDA 의 진단의 특성정의를 비교한다.
● 자료에서 확인된 간호진단들의 가장 적절한 원인들을 결정한다.

간호진단: 고체온
객관적 자료
현 건강상태 대한 결론
자료분석
영역/묶음
NANDA
특성/관련(위험요인)
-39℃ 이상의 발열
-WBC, ESR, CRP 상승
-혈소판 수 증가
-진단명: 가와사키병
감염의 징후가 나타남.
항생제 투여에도 39℃ 이상의 발열이 지속되고 있음.
Ⅺ 영역 안전/보호
과6. 체온조절
특성
발작, 홍조를 띤 피부, 정상 범위 이상으로 체온이 상승함, 경련, 빈맥, 빈 호흡, 따뜻한 피부

관련(위험)요인
마취, 발한 감소, 탈수, 고온 환경의 노출, 부적절한 의복 착용, 대사율 증가, 질병, 투약, 외상, 격렬한 활동 등

간호진단: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성
객관적 자료
현 건강상태 대한 결론
자료분석
영역/묶음
NANDA
특성/관련(위험요인)
-진단명: 가와사키병
-경한 결막충혈
-우측 이하선 부위의 발적
-등, 가슴, 안면부, 양측 허벅지에 홍반 구진양 발진
이하선의 종창, 발적 및 압통도 호전되지 않음.
발열 4일째부터 등, 가슴, 안면부, 양측 허벅지에 홍반 구진양 발진이 발열이 있을 때 나타났다가 해열되면 사라지기를 반복함.
결막충혈은 처음 응급실 방문 당시와 비슷한 정도로 지속되고 있음.
Ⅺ 영역 안전/보호
과2. 신체적 손상
특성
농양, 피부색 변화, 피부 탄력성 변화, 출혈, 물집, 피부 표피박리, 건조한 피부, 혈종, 박리, 소양감. 찰과상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