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 이직 요인과 간호사 이직을 줄이는 방안 분석

목차

1. 간호사의 이직 개요
1) 이직의 개념
2) 간호사의 이직

2. 간호사 이직의 요인
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2) 간호사의 직무만족
3) 감정노동
4) 간호사의 소진
5) 사회적지지
6)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
7) 간호조직문화

3. 간호사 이직의 문제점
1) 간호사의 측면
2) 환자의 측면
3) 조직의 측면

4. 간호사 이직을 줄이는 방안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이직의 개념
이직이란 넓은 의미로 조직으로 들어가고 나가는 조직구성원의 이동을 모두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담당직무를 그만두고 다른 직무나 조직으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Macy mirvis(1985)는 이직이란 조직의 테두리를 벗어나 영구적인 이동을 의미한다고 하였다.Bluedom(1978)은 노동자의 이직을 “어느 특정한 공장이나 회사에 있어서 노동자의 유출입”으로 입직(신규채용, 재고용)과 이직(사직, 일시해고, 해고, 정년퇴직, 사망, 군대복무)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고, Price(1977)도 이직을 “사회 시스템의 구성원이 경계를 넘나드는 개인의 이동으로 정의를 하였다. 이는 총채적인 의미로 근로자의 입직과 이직을 포함한 개념이다. 이렇듯 이직은 채용이나 훈련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생산량의 감소 등 많은 부분에서 불이익을 발생시킨다.

2) 간호사의 이직
간호사의 이직은 새로운 인력의 선발, 교육 훈련을 위한 비용, 시간 등의 투자로 인해 조직의 재정적 손실이 야기되기 때문에 병원 경영에 영향을 주므로 간호 인력을 유지, 발전시키는 것은 조직적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간호 인력이 의료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고, 간호 인력 공급이 충분하지 못 할 경우 환자 간호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환자는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어 환자의 생명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병원간호사의 이직률은 전 세계적으로 높으며 특히 우리나라 간호사 부족 현상은 매우 심각한 이슈로 인지되고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