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고혈합 CASE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및 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및 간호

Ⅱ. 간호사례
1. 자료수집
2. 간호과정

Ⅲ. 자아성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중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 중 가장 흔하며 초산모의 약 6~29%, 다분만부의 2~4%를 차지하고 다태임신의 경우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증가한다. 임신성 고혈압은 주로 만삭에 발생하며, 일반적인 경과는 나쁘지 않은 편이나, 심한 임신성 고혈압의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 임신중 합병된 고혈압의 분류
만성 고혈압 (Chronic hypertension)
● 임신 이전에 이미 고혈압(140/90mmHg) 이상으로 진단된 경우
● 임신 이전에 고혈압이 진단된 경우
● 출산 후 3개월까지 혈압이 정상화되지 않는 경우

임신성 고혈압 (Gestational hypertension)
●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140/90mmHg)이 진단된 경우
● 단백뇨 동반하지 않음
● 출산 후 12주 이내 혈압 정상화
● 초산모 多, 다태임신 多
● 주로 만삭에 발생

자간전증-자간증(Preeclampsia – eclampsis)
●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140/90mmHg) 진단 + 의미 있는 단백뇨

2. 원인

임신성 고혈압은 임부의 나이가 20세 이하인 초임부, 만성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그리고 35세 이상의 여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재발률은 이전 임신상태의 심각한 정도와 관련이 있는데, 경한 임신성 고혈압의 경우는 다시 재발되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