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급성충수염 정의
2. 급성충수염 증상 및 징후
3. 급성충수염 병태생리
4. 급성충수염 진단
5. 급성충수염 치료법
(1) 내과적 치료
(2) 외과적 치료
6. 급성충수염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1) 장기목표
2) 단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간호계획
2) 치료적 간호계획
3) 교육적 간호계획
(5) 간호수행
1) 진단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2) 치료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3) 교육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1. 급성충수염 정의
급성충수염이란 외과적 처치를 필요로 하는 급성 염증으로서 맹장 끝 약 10cm 길이의 충수 돌기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준 매년 10만명 이상이 급성 충수염으로 수술을 받고있으며 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 급성충수염 증상 및 징후
급성 충수염의 가장 기본적인 증상은 통증이다. 통증은 배꼽주위에서 시작한 rebound tenderness가 복부 전체에서 우하복부로 이동한다. 가장 흔한 압통점은 충수의 정상 위치에 해당하는 점인 장골의 우측 전상극에서 5c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McBurney’s point이지만, 나이가 어린 소아일 경우엔 구체적인 통증 위치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충수염 아동의 20~40%에서 통증호소 후 약 48시간 내에 충수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열, 오심, 구토. 복부 강직, 웅크린 자세, 장음의 감소/소실, 변비/설사, 식욕부진, 빈맥, 빈호흡, 창백, 기면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3. 급성충수염 병태생리
충수는 끝이 막힌, 길고 가는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부위가 막히면 그 이하 부위가 완전히 폐쇄된다. 충수의 구멍이 막히면 안에 있던 세균이 증식하고, 점막층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점점 분비물의 양이 증가하여 충수 돌기가 팽창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