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지가와 배경설화를 통해 가르칠 수 있는 한국 문화의 특징을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구지가와 설화 그리고 한국문화
1) 구지가에 나타난 설화적 특징
2) 구지가에 나타난 한국문화의 특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발하라리의 저서 사피엔스에 따르면 인류는 인지혁명을 통해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다. 인지혁명이라는 것은 오브제의 인과관계를 따짐에 있어 상상력을 사용할 수 있었다는 의미이고, 그것을 통해 인류는 약속과 미래를 꿈꿀 수 있었다. 약속과 미래를 활용한다는 말은 상상력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인지의 결과로 작용했다. 때문에 인류는 소규모의 씨족 생활에서 국가 단위의 나라를 세울 수 있었고, 그 국가의 근본은 약속을 통한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신뢰는 대부분 논증적이고 이성적인 것에 의지하기 보단 상상력을 통한 여러 배경적인 것에 집중하게 되었는데, 당시 고대국가의 기틀을 보자면 그들의 국가 당위성에는 언제나 설화라는 것이 존재했다. 건국설화는 한 나라의 존재의 의미와 이유에 대해 합리적인 이유를 만들게 된다. 때문에 나라를 통치하거나 다스리는 왕 혹은 제사장과 같은 권력자의 입장에서는 건국신화라는 것이 일반 백성들은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할 불가항력적인 것을 대표해야만 했다. 그렇기에 건국신화 대부분은 자연과 관계되어 있는 것이 많이 존재하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리스 로마신화나 이집트의 신화 그리고 바로 옆 나라의 일본 신화들 모두는 자연을 의인화한 신들이 등장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