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조 성리학의 전개와 서학, 동학의 등장배경
2. 수운의 동학사상
3. 수운의 후계자들에 의한 동학사상의 전개와 변용
4. 동학과 갑오혁명과의 관계
본문내용
서학, 동학사상 등장배경
왜 성리학이 서학, 동학사상의 등장배경인가? 조선조 성리학의 출발 : 삼봉 정도전
* 조선조 성리학의 종착역 : 水雲
조선조 건국이념
맹자의 하느님[神] : 인간의 투영
천시자아민시(天視自我民視)
천청자아민청(天聽自我民聽)
정도전의 맹자에 의한 조선조 기획
.맹자의 사상 : 민본 백성[民]이 가장 존귀
* 천도(天道), 천심(天心) : 백성의 소리
– 군주가 사직을 위태롭게 하면 군주 교체
조선왕조 : 교육의 왕국
.왕 : 경연, 사대부 및 일반백성 : 교육의 보편화
.성균관, 5부학당, 향교, 서원, 서당
* 교육 : 평등주의 사고 배양(맹자의 사상)
서학(천주교) 수용 : 18세기
주리적인 남인계열에 의해 수용
.조선후기 사상적 공동을 기독교로 대체
.구체적인 민본확대 추구
– 인간평등에 대한 종교적 열망
* 남녀노소 · 귀천 불문 합석
* 사대부와 민의 수직적 구도를 수평적으로 전환
불안 : 신 앞에 선 단독자
.불안 : 신 앞에 선 단독자의 괴로운 감정
.자율적 존재자’임을 알려주는 지표
.불안하다는 것 : 어떤 운명에도 자유로워 나의 의지대로 삶을 엮어갈 수 있다는 의미
우리 생의 본질적 정서인 불안은 곧 ‘자유에의 현기증’이라고.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