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선조 선정 이유
Ⅱ. 본론
1. 선조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1) 이순신을 향한 의심과 박대
(2) 국왕으로서 책임감 결여(명나라 도주 계획)
(3) 공신 책봉 문제
2. 선조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1) 정치적 역량과 인재 등용
(2) 전쟁 대비
(3) 전후처리
Ⅲ. 결론
1. 선조에 대한 재해석 및 재평가
본문내용
1. 선조 선정 이유
선조는 조선의 14대 국왕으로 아마도 인조와 더불어 우리나라 역사상 역대 군주 중에서 가장 욕을 많이 먹었을지도 모른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의 갈등, 나라를 버리고 도망간 전무후무한 군주 등 어리석고 무능한 모습으로 자주 묘사된다. 실제로 선조가 등장하는 영화, 드라마 등의 매체에서도 대부분 부정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 요즘에도 카카오맵에서 목릉선조왕릉은 별점 테러를 당할 정도로 선조의 인식은 좋지 못하다. 매거진 환경, ‘선조왕릉의 카카오맵 별점은 왜 1.4인가 [이명지의 IT뷰어]’ 中
선조는 실제로 중고등학교 시절에 한국사를 공부할 때도 선조 때 사림이라는 세력이 정계에 진출했고, 임진왜란 발발 당시의 국왕 정도의 정보만을 배웠던 기억이 있다.
후대 사람들이 역사적 인물에 대해 평가를 할 때, 보통은 공과 실이 같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폐위되지도 않았던 조선의 국왕이 공은 별로 드러나지 않고 실을 포함한 부정적인 면모로만 보통 평가되는 것에 대한 의문과 호기심이 내가 많은 역사적 인물 중에 선조를 선정하게 된 이유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선조의 업적과 함께 그 업적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해석과 평가를, 결론에서는 선조가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의 관점 안에서 선조를 재평가 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선조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1)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향한 의심과 박대
선조를 향한 부정적인 평가 중의 하나는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가장 존경받는 인물이자 영웅인 이순신 장군을 아주 노골적으로 의심하고 박대했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