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개념
2.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사업의 개념
3.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4. 미국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5. 정신사회재활의 개념
6. 국내 정신사회재활의 현황 및 문제점
7. 미국의 정신사회재활의 현황 및 문제점
8. 참고문헌
본문내용
3. 국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현황 및 문제점
1) 추진방향
국가 정신건강증진사업은 마음이 건강한 사회, 함께 사는 나라에 비전을 두고, 코로나19 심리방역을 통한 대국민 회복탄력성 증진, 전 국민이 언제든 필요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조성, 정신질환자의 중등도와 경과에 따른 맞춤형 치료환경 제공, 정신질환자가 차별 경험 없이 지역사회 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 약물중독 ⸱ 이용장애 등에 대한 전제적 관리체계 마련, 자살충동 ⸱ 자살 수단 ⸱ 재시도 등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현을 정책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비전과 정책목표 및 전략은 다음과 같다.
4) 문제점
(1) 정신건강지표의 부재
한국의 정신건강을 나타낼 수 있는 정신건강지표가 미미한 실정이며, 실제 정신보건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노력도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정신보건 분야의 통계지표로는 정신질환자 역학조사와 장애인 실태조사 중 일부 정신장애인에 대한 자료,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의 스트레스 및 우울, 자살충동 등의 정신건강 관련 자료, 정신 장애로 인한 활동제한 유무 자료만이 분절적으로 조사되고 있어 국가차원에서 전 국민의 정신건강을 체계적으로 통합하여 조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