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 간호과정 케이스 간호과정 2개, 27page

목차

1. A. 문헌고찰
1.질병의 정의 및 원인
2.질병의 병태생리
3.진단검사
4.증상
5.치료 및 간호

2. B. 간호과정 적용사례
1.간호사정
1)자료수집
①환자 간호력
②신체검진
③검사소견
④치료경과 : 진단명
치료 방법(약물, 수술, 특별식이 등 포함)
치료 목적
2)자료분석
Subjective, objective data의 분석과 종합
2.간호진단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EPS(etiology, problem, sign & symptom)system으로 서술
3.간호계획
1)간호목표(장기, 단기)
2)간호활동 계획, 이론적 근거
4.간호수행
5.간호평가

3. C. 참고문헌

본문내용

A. 문헌고찰
심방세동
[ Atrial fibrillation ]

● 정의
심방세동은 심방이 규칙적으로 뛰지 않고 분당 30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형성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일으키는 부정맥 질환의 일종이다. 심방에서 매우 빠르고 비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발생, 이로 인해 심방의 규칙적인 수축이 소실되고 불규칙한 잔떨림이 발생한다.

● 원인
심방 세동의 원인은 다양하며 발생 기전은 아직까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다.
• 심장원인
– 노화, 고혈압,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심장판막질환, 심근증, 심낭염, 동기능부전증, 심장수술 후, 심방중격 결손증
• 심장 외 원인
– 만성폐질환, 폐렴, 폐색전증, 갑상선 항진증, 음주, 과식, 전해질 불균형
(과거 류마티스성 판막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나, 현재는 고혈압성 심장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

● 증상
• 무증상
• 가슴 두근거림: 크게 뛰고, 가슴이 흔들리는 느낌, 흉부 불편감
• 무기력하고 피곤한 느낌
• 어지러움: 머리가 핑 도는 느낌 / 어질한 느낌
• 숨이 차다, 호흡곤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