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경화증 간호진단 케이스, 간호과정 2개, 29page

목차

1. A. 문헌고찰

2. B. 간호과정 적용사례
1.간호사정
1)자료수집
①환자 간호력
②신체검진
③검사소견
④치료경과 : 진단명
치료 방법(약물, 수술, 특별식이 등 포함)
치료 목적
2)자료분석
Subjective, objective data의 분석과 종합
2.간호진단
실제적, 잠재적 문제를 EPS(etiology, problem, sign & symptom)system으로 서술
3.간호계획
1)간호목표(장기, 단기)
2)간호활동 계획, 이론적 근거
4.간호수행
5.간호평가

3. C. 참고문헌

본문내용

● 원인
– 고콜레스테롤혈증, 낮은 HDL 콜레스테롤, 높은 LDL 콜레스테롤, 높은 중성지방
– 고혈압, 당뇨,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 흡연, 연령 증가, 운동부족, 과체중 및 복부비만 등

● 병태생리
– 동맥 내 죽경화증으로 혈관강이 좁아지고 혈전증으로 혈관이 막히며 동맥류로 진행되거나 혈관이 파열될 수 있고 좁아진 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는 장기의 영양결핍으로 인해 조직이 섬유화될 수 있음

● 증상
– 주로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심장혈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동맥과 경동맥, 신장의 신동맥 및 말초혈관 침범
– 허혈성 심장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심장마비)
– 뇌졸중 : 뇌경색, 뇌출혈
– 신부전 및 허혈성 사지 질환 (말초혈관폐쇄성 질환)

● 진단
– 허혈성 심장질환 : CT or 심장 혈관 조영술, 운동부하 심전도, 심장 핵의학 검사
– 말초혈관질환, 사지혈관 허혈성 질환
: 동맥경화도(ABI) 검사, CT 혈관조영술, 말초 혈관조영술
– 경동맥 질환 : 경동맥 초음파,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 뇌졸중 : 뇌 MRI(자기공명영상), 뇌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 치료 및 간호
– 진행 예방 : 저지방식, 혈압⦁혈당 조절 등의 자기 관리
– 약물 : 항혈소판제제, statins, 지질 강하제 등
– 시술 및 수술 : 혈관 성형술, 스텐트 삽입술, 동맥 내막 절제술, 동맥 우회로 수술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