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질환보고서1
1 식도암
1) 정의
2) 병태생리와 원인
3) 병기 및 진행단계
4) 증상
5) 합병증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Ⅱ 경피적 방사선 위루술
Ⅲ 말초삽입 중심정맥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도(Esophagus)
▶ 구강으로 들어온 음식물이 위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식도의 길이는 약 24-33cm, 너비 약 2-3cm, 두께 약 4mm 정도의 관으로서 기도 뒤에 위치한다. 제6경추 높이에서 인두와 연결되고 가로막(횡경막)과 식도열공(식도구멍)을 거쳐 제11뼈 흉추 높이에서 위와 연결되며 위치에 따라 경부식도, 흉부식도, 복강내 식도로 나뉘어진다.
식도의 1/3은 가로무늬근이며 아래쪽 2/3는 민무늬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도의 연하운동은 미주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인두로 들어온 음식물을 연하운동을 통해 위와 연결된 들문(분문)을 거쳐 위로 들어가며, 식도벽의 점액은 음식물이 잘 지나가도록 매끄럽게 해주며 식도벽을 보호한다.
식도의 위와 아래에는 조임근이 존재하며 들문조임근(본문괄약근)의 압력은 음식물을 삼킬 때 감소되어 음식물이 내려가고 그 이후 압력을 가함으로써 위로 들어간 음식물이 역류되는 것을 막아준다.
1. 식도암(Esophageal cancer)
1) 정의
▶ 식도에 발생한 암으로, 조직학적으로 편평상피암과 선암으로 구분된다.
– 식도암은 주로 50대 이후에 발생하며, 60-70대의 연령층에서 호발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녀 발생비율은 13:1로 서 남성에게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2) 병태생리와 원인
▶ 편평상피암은 식도암의 95%를 차지하며, 식도상부 1/3이상 부위에서 발견된다. 식도는 위나 큰창자와 달리 장막 에 싸여있지 않아 급속히 림프관을 타고 주변 장기인 심장, 대동맥으로 퍼져나가면 대부분 수술이 불가능하다.
▶ 선암의 발생률은 최근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