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 고찰
Ⅱ 서론
Ⅲ Case Study
1) 대상자 자료수집
2) 약물 및 기타치료
3) 문제 목록 리스트
4) 혈액검사
5) 혈액화학검사
6) 요화학검사
7) 간호 과정
8) 전체 간호 평가 및 소감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조현병(Schizophrenia)
1) 정의
왜곡되고 기괴한 사고, 인지, 감정, 운동, 행동을 일으키나 단일 질환으로 정의될 수 없으며, 다양한 종류와 증상이 있는 증후군이나 질병과정으로 여겨진다. 대부분 청소년 후기나 성인기 초기에 진단되고 아동기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남성의 경우 15-25세에, 여성의 경우 25-35세에 발병하는 것이 최고조에 이른다.
2) 원인
① 유전적 요인
– 일란성 쌍둥이 중 한명이 조현병일 시 다른 쌍둥이의 발병률은 50%이다.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에는 위험률이 15%로 낮아진다.)
– 부모 중 한 명이 조현병이 있으면 그 자녀는 15%의 위험률을 갖고, 부모 둘 다 조현병이 있을 때 이 위험률 은 35%까지 올라간다고 보고되어 있다.
② 신경해부학적·신경화학적 요인
– 조현병 대상자는 정상인보다 상대적으로 뇌 조직과 뇌척수액의 양이 적다.
– CT는 뇌실(ventricle)의 비대와 피질위축(cortical atrophy)을 보여주고, PET 연구는 전두부 피질에서의 포도당 대사와 산소가 줄어들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 전두엽 및 측두엽 영역에서 감소된 뇌 용적과 비정상적인 뇌 기능을 보고하고 있다.
– 신경세포로부터 정보를 다른 신경세포의 시냅스 후 수용체에 전달하는 신경망에 기능 이상이 있는 것으로 보 인다.
– 최근 가장 두드러진 신경 화학적 이론은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연관시키고 있는데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과다 가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