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목차

1. 사회복지정책 및 행정이념의 재정립 및 확정

2. 한국형 사회복지모형의 구축

3. 정책과학적 접근방법의 도입

4. 사회복지행정 전달체계 및 행정체계의 개선
1) 사회복지행정 전달체계의 개선
(1) 사회복지행정 조직체계의 재편성
(2) 사회복지전문인력의 활용
(3) 행정주체 간 사회복지행정기능의 재배분
2) 사회복지행정의 새로운 방향모색
(1) 사회복지행정조직의 재설계
(2) 사회복지행정전문직의 방향 및 과제
(3) 사회복지행정 재정상의 방향 및 과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먼저 무엇보다 사회복지행정(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가 우리의 중요한과제이다. 사회복지행정(정책)은 각 나라와 시대에 따라 그 개념이 약간씩 다르게 해석되어 왔다. 먼저 영국에서는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정책이 사회행정(Social Administration)과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독일은 노동자계층의 경제적 보장을 위한노동문제해결의 국가적 대책을 의미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의미의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정책의 등장배경 및 이념의 차이는 영국의 경우 1601년 엘리자베스 구빈법 이래 경험주의적 복지이념, 사회개량, 공리주의, 사회공학적 복지이념이 저변에 깔려 있었으며 이의 구체적인 형태로, 소득유지, 교육, 건강, 주택서비스 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독일의 경우 산업혁명 이후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가 노사계층 간의 갈등문제였고 여기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관계정립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두 사회복지정책 및 사회정책의 등장배경 및 이념의 해석은 다른 나라의 사회복지정책에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스웨덴은 주로 영국의 영향을, 프랑스와 일본은 상대적으로 독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외국의 정책이나 이를 및 모델을 수입하여 그대로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여기에 우리의 사회복지모형의 구축을 위한 전제로 우리의 고유한 민족적 전통 즉, 향약, 두레, 품앗이와 같은 민족공동체의식 및 이념을 토대로 한 사회복지행정(정책) 이념의 재정립과 확정이 일차적 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