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간호 사례 선정 이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사례연구
1) #1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2) #2 파막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3. 질병연구
Ⅲ. 결론
1.실습하며 느낀 점
2.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간호 사례 선정 이유
분만실에서 실습하며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자연질식분만을 선택하였다. 첫째 주에 자연질식분만을 2차례, 자연주의 출산을 1차례 관찰하며 기억에 남는 환자를 선택하였다. NST와 활력 징후 측정 시 처음이라 잘못하고 있을 때, 대상자가 천천히 하라며, 괜찮다고 하였다. 친절했던 모습이 기억에 남아 선택하게 되었다.
해당 환자는 3월 3일 1시 30분에 집에서 양수가 터졌으며, 2시부터 진통을 시작하였다. 4시 10분에 분만실로 내원하였다. 임신 중 갑자기 당뇨가 생겼으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있어 치료를 위해 씬지로이드를 복용 중이다. 임신성 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식이를 적용 중이며, 당뇨병 약물은 적용하고 있지 않다.
Ⅱ. 본 론
Ⅰ. 문헌고찰
1. 정의
1) 분만이란?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포함한 그 부속물이 만출력에 의해 산도를 통과하여 모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이다. 보통 임신 37주 이후 분만하는 경우를 만삭 분만,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를 조산 또는 조기 분만, 임신 42주 이후에 분만하는 경우를 과숙 분만이라고 한다.
2. 분만 5요소(5P)
1) 만출물(Passenger; 태아와 태반)
(1) 아두: 분만 시 아두가 가장 중요하며, 아두가 산도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다면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큰 문제가 없다.
(2) 태아 선진부: 만기에 분만 시 골반 입구로 가장 먼저 진입하는 부분으로 산도를 제일 먼저 통과한다.
(3) 태위: 모체의 장축과 태아의 장축과의 관계이며, 평행하면 종위, 직각을 이루면 횡위라고 한다. 횡위인 경우에는 질 분만이 불가능하다.
(4) 태세: 태아가 임신 후반기 취하게 되는 자세이며, 신체 각 부분, 즉 머리, 몸통, 사지의 상호관계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