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외과파트 조기위암 질병보고서

목차

1. 질병 정의

2. 병태생리

3. 분류

4. 원인 및 위험 요인
1)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감염)
2) 유전적 요인
3) 음식 및 식이 습관
4) Gastric surgery(위 수술)

5. 증상

6. 진단검사 및 결과
1)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S(위내시경 검사)
2) Upper gastrointestinal series, UGI(상부위장조영술)
3) Endoscopic ultrasound scopy, EUS(내시경적 초음파검사)
4) Computed tomography, CT(전산화단층촬영)
5)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양전자방출단층촬영)

7. 치료 방법(내과적/중재적/외과적 방법)
1) 내과적 방법
2) 중재적 방법
3) 외과적 방법

8. 간호 중재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 정의
Gastric cancer(위암)는 adenocarcinoma(선암)가 90% 정도 차지하며, 나머지 10%는 lymphoma(림프종)이다. adenocarcinoma는 gastric mucosa(위점막)의 glandular cell(선세포)에서 발생한 것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mucosa(점막층), submucosa(점막하층), muscle(근육층), serosa(장막층)를 지나게 된다. lymphoma는 stomach의 nerve(신경) 및 muscle tissue(근육 조직)에서 발생하는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위장관 간질성 종양), sarcoma(육종), 그리고 hormone(호르몬)을 분비하는 neuro endocrine tumor(신경내분비종양) 등이 모두 gastric cancer에 포함된다. 병기와 상관없이 모든 gastric cancer의 5년 생존율은 77%(2014~2018년)로 나타났고, early gastric cancer(EGC, 조기 위암)의 경우 90% 이상의 5년 생존율을 보인다.

2. 병태생리
Gastric cancer는 주로 mucous gland(점액샘)에서 발생하며, tumor(종양) 대부분은 pyloric antrum(유문 전정)이나 pyloric canal(날문부)에서 발생하고 Gastric cancer의 형태는 polyp(용종), ulcerative(궤양성), infiltrative(침윤성)로 나뉘며 그중 polyp 형태의 gastric cancer가 예후가 가장 좋고 infiltrative 형태의 Gastric cancer가 가장 나쁘다. Gastric cancer는 직접 pancreas(췌장)로 lymph node(림프샘)나 blood circulation(혈행)을 따라서 liver(간), lung(폐), bone(뼈)으로 metastasis(전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