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쇼크의 단계
2) 일반적 관리
3) 쇼크의 원인
① 저혈량성 쇼크
② 심장성 쇼크
③ 분배성 쇼크
4) 병태생리
① 호흡기계 변화
② 심혈관계 변화
③ 신경/내분비계 변화
④ 면역계 반응
⑤ 소화기계 변화
⑥ 콩팥계 기능
5) 증상과 징후
6) 협동적 관리
① 약물 요법
② 치료
본문내용
쇼크: 불충분한 혈액 순환으로 인해 혈액이 조직 내로 적절히 확산되지 못하여 세포에 신진대사 부전이 초래되고 그 결과 생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가 나타남을 말함. 즉, 세포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혈류와 산소 공급이 부족한 상태
– 일반적 증상: 순환 혈액량의 감소로 전신의 혈액 공급을 위해 심장에서는 심박동수가 빨라지나 심장의 수축력은 점점 약해짐, 호흡이 빨라짐, 피부는 습하고 차가워짐
1) 쇼크의 단계
보상단계: 순환혈액량이 감소하지만 심각한 영향 X, 심박출량 저하, 혈압 정상 유지→ 주요 기관의 혈액은 신속하게 공급, 피부나 콩팥으로 가는 혈액은 서서히 공급
보상부전단계: 중심 정맥압 저하, 우심방으로 정맥혈의 귀환이 안됨→ 주요 기관에 혈액 공급 難, 저산소 상태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