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장암 Case Study (통증, 불안)

목차

1. 질병 기술 : 결장암(Colon cancer)
1) 병인론
2) 임상증상
3) 치료
4) 간호

2. 간호과정

3. 투약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 기술 : 결장암(Colon cancer)
(1) 병인론

<대장 구조와 부위별 암 발병률>

우리 몸의 소화기관은 식도, 위, 소장, 대장으로 구분되는데 대장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위이며 주로 수분 및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고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이라고 한다. 결장은 다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그리고 S결장으로 나누어진다. 결장은 파이프 모양의 관으로 안쪽에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 등 4개의 층으로 나뉘는데, 대부분의 결장암은 결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유전적 요인
결장암 발병위험을 높이는 가족 내 유전질환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가족성 용종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인데, 이 질환은 수백 또는 수천 개의 선종이 결장에 생기게 되고 성인이 되면 거의 100% 암으로 진행한다. 두번째는 유전성 비용종증이며 이 질환은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가족성 용종증보다 흔하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② 환경적 요인 : 식습관
–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고지방식이
육식을 통해 동물성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간에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생성과 분비가 증가되어 대장 내 담즙산의 양이 많아지고 대장 내 세균들이 이들을 분해하여 2차 담즙산, 콜레스테롤 대사 산물과 독성 대사산물을 만든다. 이들이 대장세포를 손상시켜 발암물질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 섬유질 섭취 부족
섬유질, 야채류, 과일류의 충분한 섭취는 대장암의 예방 효과가 있다. 섬유질은 음식물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발암물질과 장 점막과의 접촉시간을 단축시키고 장 내 발암물질을 희석시키는 작용을 한다.
– 굽거나 튀기는 조리방법
높은 온도에서 육류가 조리될 때 나오는 발암물질이 대장암의 발생을 촉진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