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개론 전환프로그램의 적용 실태와 예시 레포트

목차

1 서론
– 연구 동기 및 목적
– 이론적 배경
– 연구 방법

2. 본론
– 연구 설계
– 연구 내용 및 결과

3 결론
– 결론 및 제언

4 참고문

본문내용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에 대한 추적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그들은 비장애 고등부 졸업생에 비하여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완전히 참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2016년도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 진로현황과 취업률(2016, 교육부)을 살펴보면, 실제적으로 약 3.9%의 학생만이 2년제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교에 들어갔으며, 실제적으로 취업하여 독립된 경제생활을 이어가는 학생들은 2016년도 기준14%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들은 집 또는 시설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월 평균 소득 또한 100만원 이하인 저 소득층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학생들이 졸업 후 자립적인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전환 교육이 필수적일 것이다. 전환교육이란, 장애학생들이 학교생활을 마치고 성인 사회의 생활로 옮아가는 과정을 순조롭게 하기 위해 마련하는 교육 모형이다. 이는 장애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에 지역사회에서 성인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용뿐만 아니라 고등교육과 생활 기술 등 전체적인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실제 장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전환교육들과 더 나아가 전환교육 이후에 이루어지는 장애학생들의 진로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가. 전환의 개념과 요구
전환(transition)은 한 가지 조건이나 장소에서 다른 조건이나 장소로 이동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개인은 전 생애 동안 다양한 형태의 전환을 경험하고, 이 과정을 통해 발전한다. (조인수, 2005. 정동영, p. 371에서 재인용).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