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병동 보조기 컨퍼런스

목차

1)보조기의 정의

2)보조기 사용목적

3)splint & cast 적응증

4)보조기의 종류 와 특징 및 적응증
1.경추 보조기
2.척추 보조기
3.상지 보조기
4.하지 보조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보조기의 정의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를 말하고 신체기관을 대체하는 경우 의지(의족,의수)라고 한다.

2. 보조기의 목적
-관절고정(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 이하로 움직임 제한) & 변형 방지, 교정
-체중부하 방지
-이차적 손상 방지
-통증 경감

3. splint & cast 적응증
-splint 부목 : 반깁스
적응증: 상처, 부종, 염좌(sprain), 통증 등으로 cast 적용이 어려울 때 단기간 고정 시 주로 적용함. 보통 벨크로로 조임.

-cast(통기브스)
적응증: 상처가 다 나은 수술부위에 지속적인 고정 필요시 장기간 & 단단한 고정 필요시 적용함.
* 부종이 심한 경우 cast 하지 않음
* 부종과 그로 인한 신경, 혈관의 손상을 막기 위해 심장보다 높게 올리게 하며
조임과 불편함이 없는지 수시로 확인함

4. 보조기의 종류 와 특징 및 적응증

 경추보조기

soft collar brace
목을 앞으로 구부리거나 뒤로 젖히는 굴곡 동작이 가능

적응증
경추부 염좌나 경추부의 체위를 유지
경추부 동통 및 신경근 압박 시

thomas collar brace
굴곡, 신전 제한해서 경추 부위의 지지와 고정을 도와주는 보조기, 목 높이 조절 가능

적응증
경추부 염좌, 연부조직 병변 시

philadelphia brace
경추의 굴곡 및 신전 제한
경추 부위의 지지와 고정을 도와줌

적응증
경추부 염좌, 경추 추간판 탈출증 시

 척추보조기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