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ingioma(수막종) A+ 케이스스터디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질병연구(문헌고찰)
(1) 대상자의 진단명
(2) 정의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My patient와 비교
(5) 치료_진단검사, 약물, 처치
(6) 간호

2. 간호사정
(1) 간호사정

3. 신체 검진
(1) 일반적 상태
(2) 피부 상태
(3)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의 상태
(4) 호흡기 상태
(5) 순환기 상태
(6) 소화기 상태
(7) 유방 및 비뇨생식기 상태
(8) 근골격 상태
(9) 신경 상태
(10) 내분비 및 기타 상태
(11) 활동
(12) 배설양상
(13) 기타

4. 진단검사, 특수처치
(1) Hematology
(2) Blood Chemistry
(3)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4) 기타 혈액 검사
(5) 기타 진단검사 및 특수처치: Radiology test 등

5. 주요 약물

6. 총괄적 소견

7.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1) 간호진단
(2) 우선순위

8. 간호과정

본문내용

대상자의 진단명
meningioma (수막종)

정의
뇌막(=뇌척수막, 수막)은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 얇은 막으로, 경막, 지주막, 연막 총 3개의 막으로 구성돼 있다. 수막종은 이러한 뇌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며, 뇌종양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한다. 수막종은 조직학적으로 악성(암)과 양성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양성 뇌수막종으로 천천히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악성은 2~12%로 드물게 발생하기도 한다.
[육안상 특징] 대부분의 수막종은 지주막에서 발생하며, 경막과 유착되어 딱딱한 두개골 때문에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뇌 조직 쪽으로 자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뇌 조직 속으로 침습적으로 성장하지 않고 주변 뇌 조직을 압박하며 성장을 한다. 이에 따라, 뇌막을 들면 종양이 같이 떨어져나오고 대뇌의 표면에는 함몰 부분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병태생리
수막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몇 가지 알려진 원인이 있다. 수막종의 40~80%는 종양 발생을 억제하는 22번 염색체의 이상이 발견된다. 그 외에 머리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험(방사선 노출에 따른 DNA 손상으로 인한 종양 발생), 유방암 병력, 제1형과 제2형 신경섬유종증, 외상 및 바이러스 감염 등은 위험인자가 된다. 또한, 성호르몬인 progesterone, estrogen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 및 징후
일반적으로 수막종은 매우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증상을 일으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종양이 크게 자란 상태에서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양은 자라면서 뇌 기능을 마비시키는데, 이는 뇌 조직 및 신경을 압박하고 뇌부종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부위별로 담당하는 기능이 존재하는 뇌의 특징으로 인해 종양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첫 증상은 뇌압의 상승으로 인한 것이 보통인데, 두통과 팔다리 마비가 흔하며, 뇌전증 발작, 시력 저하, 감각 마비, 언어장애, 복시, 성격의 변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