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화적응(acculturation) 과 문화충격(culture shock) 문화상대주의 (cultural relativism) 의 세 가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여 기술하세요.
2. 다음의 두 가지 문화간호이론에 대해서 기술하세요. (횡문화간호이론 transcultural nursing theory , 문화적 돌봄 이론 cultural care theory)
본문내용
문화적응 이론을 연구한 대표적인 인물로는 존 베리(John W. Berry, 1939~)가 있다. 심리학자 베리는 문화적응을 한 개인이나 집단이 새로운 문화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변화과정으로 정의하고 개인수준의 변화와 집단수준의 변화로 나누었다. 개인수준의 변화는 문화접촉으로 인한 행동의 변화나 정체성의 변화, 문화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 건강상태 등의 변화 등을 포함하며, 집단수준의 변화는 사회규범이나 제도, 물리적 환경 등의 변화를 의미한다. Berry는 개인이 새로운 문화를 접할 때 ‘기존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가치를 두는지 여부’와 ‘새로운 사회 문화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문화적응을 통합(Integration), 동화(Assimilation), 분리(Separation), 주변화(Marginalisation)의 4가지 문화적응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다고 하면서 문화정체성을 강조하였다. 통합형은 자신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문화적 정체성과 전통을 유지 하면서 새로운 주류사회의 문화와도 긍정적 관계를 유지 하는 유형이다. 동화형은 기존문화의 정체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주류사회 문화에 대해서만 관계형성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분리형은 기존의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은 강하게 유지하지만 새로운 문화는 적응하지 않는 유형이며, 주변화는 기존문화와 새로운 문화 모두 받아들이지 못하는 유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