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9. Polyethylenimine (PEI)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세포 내 siRNA 전달 및 RNA 간섭 평가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6. References

+엑셀 계산 과정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양이온성 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를 이용해 siRNA/PEI 나노입자를 만들고, GFP-silencing siRNA를 암세포 내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RNA interference (RNAi) 간섭 효율을 세포 내 GFP 발현량의 감소로 확인한다. 이 때 나노복합체의 N/P ratio에 따른 RNA 간섭 효율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실험 결과는 두 가지 측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형광현미경으로 얻은 형광이미지를 분석했을 때, Control과 Free siRNA sample에서는 형광이 비슷한 정도로 관찰되었고 N/P ratio=5에 비해 N/P ratio=20의 형광이 적게 보였다. 이를 통해 RNA 간섭 효율은 N/P ratio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했으며, GFP 발현이 감소했다는 것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flow cytometer로 측정하여 도출한 N/P ratio에 따른 GFP 발현량(%)은 control, free siRNA, N/P=5, N/P=20에서 각각 100%, 102.5%, 114.3%, 57.8%였다. GFP 발현량은 N/P=5, free siRNA, control, N/P=20 순으로 감소했다. 이를 통해, GFP 발현량은 N/P ratio=5일 때보다 N/P ratio=20일 때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양이온성 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를 이용해 GFP-silencing siRNA를 암세포 내로 전달하고 RNA interference (RNAi) 간섭 효율을 세포 내 GFP 발현량의 감소를 통해 확인한다. 이 때 나노복합체의 N/P ratio에 따른 RNA 간섭 효율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1. N/P ratio에 따른 Branched PEI의 RNA 간섭 효율 변화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