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병증(myelopathy) 질병보고서

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예후
6. 치료
7. 간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척수는 31개의 분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수신경 8개, 흉수신경 12개, 요수와 천수는 각각 5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분절 좌, 우에서는 척수신경이 나온다. 뇌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는 운동신경은 사지의 모든 근육들의 운동기능을 담당하고 반대로 말단부의 감각 수용기로부터 위로 올라가는 감각신경은 우리 몸 전체의 감각을 담당한다. 이런 척수에 발생한 병적인 변화로 인해 척수를 지나가는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하여 척수병증(myelopathy)이라고 부른다.

<중 략>

4. 진단검사
먼저 자세한 신경학적인 진찰과 문진이 이루어진다. 척수병증이 발생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감각장애와 운동장애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근력 감소, 근 위축, 이상 반사, 감각의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그 후 혈액 검사와 엑스레이 검사 등을 통해서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다른 질환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척수병증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x-ray, 척수조영술, CT, 자기공명영상촬영(MRI)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염증성 척수병증의 경우 뇌척수액검사를 통해 염증의 정도를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