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정의
2. 빈도 및 예후
3. 증상 및 징후
4. 진단검사
5. 의학적 치료
6. 간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게서 주로 발병되며 폐의 지속적인 팽창, 폐포의 확장을 유지시켜주는 계면활성제의 생성, 분비 부족으로 인해 폐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여 호흡곤란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 계면활성제: 임신 20주 이후부터 생성되어 34주가 되어야 폐포 내로 충분히 분비되어 제 역할을 한다.
2. 빈도 및 예후
단 기간의 치료에 반응한 경우 큰 문제는 없으나 드물게 기흉이 동반되기도 하며 전신의 저산소증에 의한 뇌, 신장 등의 장기의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호흡곤란이 심하여 인공호흡치료를 장기간 하게 되는 경우 미숙아 망막증이나 기관지폐이형성증 같은 만성폐질환이 동반될 수 있다.
3. 증상 및 징후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는 신생아는 질병의 중증도(폐의 미숙 정도, 관련 질환 요소, 임신나이)에 따라 급성으로 또는 수 시간에 걸쳐 다양한 호흡곤란의 양상을 가진다. 폐의 변화로 인한 증상은 보통 출생 직후 분명하게 정상 호흡과 피부색을 보이는 영아에게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몇 시간 안에 호흡이 점차 더 빨라진다(>60회/분). 흉골 밑, 늑골 위, 늑골 아래 또는 늑골 사이에서 수축을 보일 수 있으며 이 시기에는 영아의 피부색이 정상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