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대상자 일반적 사항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도구
3. 진단적 검사 결과 기록지
4. 약물치료 현황
5. 기타치료 (식이, 운동, 특수치료)
6. 대상자의 간호진단 작성표
1)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2)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표-1
3)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과정표-2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진단명 : Pulmonary thromboembolism
입원경위 : 금일 오전 8시 30분 계단 오르다가 dizziness 및 dyspnea, 전신 weakness 동반되어 타병원 검사상 PTE 진단받아 본원 응급실 내원하여 집중관찰 위해 CSU 입실
주증상 : dizziness, dyspnea, 전신 weakness
질병과정 :
2/10 nasal 5L inhalation, heparin infusion as NL protocol
2/11 nasal 5L 유지 중, 움직이고 말할 때 SP02 92-93%
2/12 nasal 5L 유지중, 2am desaturation 있어 nasal 6L로 증량 하였으나 88-90%, optiflow로 변경 적용
2/13 rr 25-32, optiflow (0.5/40) tarppering Sp02 92%
2/14 식이시작(SOW), 호흡곤란 호전, optiflow (0.4/40) tarppering
2/15 optiflow (0.3/40) tarppering, 도뇨관 삽입 부위 불편해하고 hematuria 호전 양상보여 training 후 Foley 제거
<중 략>
간호진단
1. 항응고제로 인한 혈액응고지연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2. 환기-관류 불균형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 식이섭취 불균형과 관련된 전해질불균형
4, 감소된 폐환기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5. 불충분한 수분섭취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