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제목
2. 노인포괄평가 개요
3. 노인포괄평가 작성
1) 인구학적사회학적 정보
2) 의학적 상태평가
3) 인지기능장애
4) 한국어판 노인 우울척도
5) 기능사정
6) 영양평가
7) 낙상위험도 평가 도구 Morse Fall Scale
8) 기타 환자 사정도구
4. 질병연구 (질병원인, 병리기전, 임상증상, 치료 및 간호)
5. 간호진단
6. 교육자료 (2)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병연구>
1. 노화에 따른 변화(신경계)
● 신체적 노화로 인해 신경세포 수 감소, 신경세포에서 뻗어 나오는 수상돌기들이 마모되어 뇌의 무게와 크기 감소
● 대뇌피질의 용적, 뇌혈류량과 뇌 대사율 모두 감소
● 노에피네프린, 말초신경계의 신경전도 속도 감소 : 걷거나 말하는 등의 단순행동 느려지고 반사운동 약해지며, 반응행동 느려짐
● 콜린아세틸기 전달효소, 세로토닌, 카테콜라민의 양 감소 : 지적 수행 느려짐
2. 정의
뇌혈관질환(뇌졸중)은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뉜다.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1. 병태생리
● 경색부위에서 세포 내 칼슘의 양을 증가시키고 글루탐산염을 유리하게 되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손상과정이 활성화되어 세포막이 파괴되고 더 많은 칼슘과 글루탐산염을 유리함으로써 혈관을 수축시키고, 자유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손상부위는 경색부위에서 반음영 영역으로 점차 확대된다.
● 초기에는 손상된 부위의 회백질이 진흙색으로 변하고 백질에 약간의 변색과 연화가 온다.
● 4~5분 안에 세포 내에서 변화가 나타나며 분당 2백만 개의 뇌세포가 죽는다.
● 48~72시간 후에는 경색, 괴사, 병소 주변의 부종과 손상된 부위의 변성이 분명해지다가 결국 단단한 신경교 조직으로 둘러싸인 낭종이 형성된다.
● 점진적인 혈관경색은 측부 혈액공급이 충분하면 경색을 유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완전히 폐색되지는 않았으나 경화된 혈관들이 많아 허혈 부위에 측부 혈액공급이 어렵다면 경색은 더욱 촉진된다.
< 중략>
간호진단
1. 연하곤란과 관련된 흡인의 위험
2. 근육 경직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3. 정서적지지 체계 부족과 관련된 무력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