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방문간호 케이스스터디, 불충분한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목차

1. 가구조사표
2. 건강면접조사표
3. 노인우울검사
4. 치매선별검사
5. 구강건강
6. 시나리오
7. 가족사정
8. 자료분석
1) 가족사정 자료 분석
2) 간호진단 – 불충분한 식이 섭취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시나리오
대상자 : 김**, 75세, 남성, 김해시 장유동 거주 중

대상자는 김해시 장유동에 거주하고 있는 75세 남성 김**님이다. 7년 전 아내(72세)와 이혼하였으며 아내는 딸(53살)과 함께 살고 있다. 아들(52세)은 서울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다. 2009년 HTN, 2010년 DM을 진단받았으며, 2016년 허리 협착증으로 수술하였다. 현재 혈압측정 결과 155/100, 공복 혈당 152로 측정되었다. 혈압약과 당뇨약, 허리 협착증 약을 처방받았지만,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고 있다. 두통, 감기 기운이 있는 경우 약국에서 증상 완화 시럽만 처방받아 복용하고 병원에 내원하지는 않는다. 7년 전 이혼하였으며, 이혼 이후 자식들과의 교류가 거의 끊겨 아들과 간간히 연락만 하고 지내고 있다. 이웃과는 전혀 왕래가 없다. TV, 라디오 등은 없으며 집에서는 책만 읽으며 지낸다. 걷는 것이 불편해 10분 이상 걷지 못하나 원인은 모르고 있다. 운동을 전혀 하지 않고, 하루 1갑의 흡연으로 금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일주일에 3병 이상의 술을 마시며, 소화불량으로 입맛이 없고 귀찮아서 밥을 잘 챙겨 먹지 않는다. 주로 밥 대신 막걸리를 자주 먹는다. 저녁은 보통 혼자서 라면을 끓여 먹거나 반찬 1개로 해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