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조사지Ⅰ
3. 간호정보조사지Ⅱ
4. 분만 기록지(LABOR RECORD)
5. 산욕기 경과기록지
6. 투약약물
7. 임상검사
8. 간호진단 목록
9. 간호과정 적용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헌고찰
자연분만(정상분만) Normal delivery
Ⅰ. 정의
정상분만이란 산부가 만삭에 이르고 진통에 의해 자궁경부가 얇아지고 열리면서 합병증 없이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하는 것이다. 정상분만 과정에서는 규칙적인 자궁수축, 자궁경관의 개대 및 소실, 선진부의 지속적인 하강이 일어난다.
Ⅱ. 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5P)
1. 산도 Passageway
– 단단한 뼈로 구성된 골반과 경관, 골반상, 질, 질구 등으로 이루어진 연조직으로 구성됨.
(1) 골반
– 제5요추와 좌우 대퇴골 중간에 위치한 원형의 뼈로 구성되고 골반입구, 골반강, 골반출구로 나뉨.
– 출산 시 태아가 통과하는 산도
(2) 연조직(자궁하부, 자궁경부, 골반상 근육, 질 질구)
– 자궁상부: 능동적 자궁수축, 근육이 두꺼워져 태아 수용 공간이 감소되고 압력이 가해져서 태아를 아래로 밀어냄
– 자궁하부: 수동적 자궁수축으로 자궁 내의 태아를 수용하기 위해 점차 팽창되어 자궁근육이 점차 얇아지고 커지는 소실과 개대가 일어남
– 생리적 구축륜: 자궁상부와 자궁하부의 경계로 정상적인 현상
– 병리적 구축륜: 자궁하부가 극도로 얇아지면서 치골결합과 배꼽 사이에서 발생, 수축과 관련된 자궁기능부전과 난산, 자궁파열을 유발할 수 있음
2. 만출물 Passenger
산도를 통과하는 태아와 태아 부속물
(1) 태아: 재태기간, 태위, 선진부, 태향, 태세, 태아의 수
(2) 태반: 태반유형, 착상부위, 태반성숙 정도
3. 만출력 Power
(1) 1차 만출력
– 불수의적인 자궁수축으로 경관의 소실, 개대, 태아하강에 관여함.
– 자궁상부의 견축: 자궁수축으로 인해 자궁상부가 점점 짧아지고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를 끌어당기며 개대가 일어남.
➀ 소실(effacement)
– 분만 1기에 자궁경관의 길이가 짧아지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
– 초산부: 개대가 일어나기 소실이 먼저 일어남
– 경산부: 자궁경관 소실 및 개대가 동시에 일어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