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아토피피부염/간호진단 3개/피부통합성 장애/감염의 위험성/간호과정 2개/이론적 근거/케이스스터디/아동간호학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①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1) 주관적&객관적 자료
2) 장기적&단기적 간호목표
3)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4) 간호평가

3. 간호과정 ② 병변관리부족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1) 주관적&객관적 자료
2) 장기적&단기적 간호목표
3) 간호계획(진단적 2개, 치료적 2개, 교육적 2개) 및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4) 간호평가

본문내용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CBC 검사 결과 Eosi. Count가 350㎕ 이하이다.
(이론적 근거: CBC test의 결과로 탈수증과 출혈 등과 같은 직접적인 체액량의 변화를 알 수 있고 각종 혈구의 생성, 수명 파괴와 관련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급만성 염증, 알러지 혈액응고 이상 등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치료적 계획>
② 꽉 끼지 않는 면제품의 옷을 입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 꽉 끼는 옷은 피부 통풍을 막으며 모직이나 나일론보다 면제품의 의류는 통풍을 용이하게 하고 피부자극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③ 처방에 따라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연고를 하루 3회 아토피 부위에 도포한다.
(이론적 근거 : 항히스타민제는 두드러기, 발적, 소양감 등의 알레르기성 반응에 관여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⑥ 보호자에게 시원한 환경(여름 24-26도, 겨울 22-24도)이 소양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