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정신간호학/불안장애 대상자 치료적 의사소통/범불안장애/과도한 걱정과 관련된 불안/간호학과

목차

1. 불안장애 대상자 일반적 정보(가상인물)

2. 불안장애 대상자의 간단한 History(허구)

3. 불안장애 대상자의 간호진단 : 과도한 걱정과 관련된 불안

4. 치료적 의사소통
– 환자 및 학생의 의사소통
– 의사소통 기법
– 이론적 근거
– 평가 및 분

본문내용

1. 불안장애 대상자 일반적 정보

이름
성별
***
F
나이
결혼상태
45
기혼
최종학력
직업
고졸
가정주부
진단명

범불안장애

45세인 가정주부 ***씨는 두 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5년 전부터 이유를 알 수 없는 불안감, 초조감을 느끼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불면증도 더욱 심해졌다. 이러한 증상은 스트레스가 있으면 더욱 심해지는데, 명절을 앞두고는 집안 어른들이 모두 모이는 자리에서 맏며느리로서 차례 음식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할까 봐 매우 불안해지곤 하였다. 명절을 지내고 나서는 자신의 사소한 실수를 곱씹으면서 힘들어하였다.

2. 불안장애 대상자의 간단한 History
만성적인 피로감과 소화불량, 두통, 온몸이 여기저기 쑤시고 아픈 증상을 자주 호소했으며 이 때문에 내과를 자주 방문해서 각종 혈액검사, 갑상선기능검사, 심전도검사 등을 받았지만 특별한 이상이 없고 신경성이라는 말만 듣곤 했다. 지나치게 걱정만 하는 탓에 사회적 교류를 하지 않고 외출도 거의 하지 않는다. 집에서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말하는지, 날씨나 도로사정이 어떤지 등 많은 문제에 대해 걱정하며 살고 있다. 대상자가 밤에 잠도 안자고 집안을 돌아다녀서 남편은 항상 잠에서 깬다. 최근 고3인 큰아들의 수능 시험을 앞두고 있는데, 수험생인 아들보다 더욱 불안해하며, 깜짝깜짝 자주 놀라고 가족에게 사소한 일에도 쉽게 짜증을 많이 내곤 하여, 오히려 고3인 아들이 위로해 주는 지경에 이르렀다. 지나친 걱정만 늘어놓으며 집에만 있으려 하는 아내를 걱정하여 남편이 연락해서 정신과 외래에 오게 되었고, 진료를 통해 범불안장애 진단과 함께 이는 과도한 걱정에 따른 불안이라는 소견을 듣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